티스토리 뷰
반응형
Spring Initializr은 새로운 Spring Boot 프로젝트 설정 프로세스를 단순화하는 웹 기반 도구입니다. 이를 통해 개발자는 종속성, 패키징, Java 버전 및 기타 세부 정보를 선택하여 사전 구성된 프로젝트를 빠르게 생성할 수 있습니다. 다음은 Spring Initializr를 사용하여 새 프로젝트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가이드입니다.
Spring Initializr 사용에 대한 단계별 가이드
- Spring Initializr 프로그램 방문:
- https://start.spring.io로 이동하세요.
- 여러 구성 옵션이 포함된 웹 양식이 표시됩니다.
- 프로젝트 설정 구성:
- 프로젝트: 빌드 시스템(Maven 또는 Gradle)을 선택합니다.
- 언어: 프로그래밍 언어(Java, Kotlin 또는 Groovy)를 선택합니다.
- Spring Boot 버전: 사용하려는 Spring Boot 버전을 선택합니다(일반적으로 최신 안정 릴리스가 권장됩니다).
- 프로젝트 메타데이터 설정:
- 그룹: 패키지 구조(종종 역도메인 형식(예: com.example))입니다.
- 아티팩트: 프로젝트의 주요 식별자이며 프로젝트 이름으로도 사용됩니다.
- 이름 및 설명: 이는 일반적인 참조용이며 프로젝트의 pom.xml 또는 build.gradle에 표시됩니다.
- 패키지 이름: 애플리케이션의 Java 클래스에 대한 기본 패키지입니다.
- 패키징 및 Java 버전 선택:
- 패키징: jar(웹 애플리케이션의 기본값) 또는 war(독립형 서블릿 컨테이너가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의 경우) 중에서 선택합니다.
- Java 버전: 사용할 Java 버전을 선택하여 시스템 및 기타 종속성과의 호환성을 확인하세요.
- 종속성 선택:
- Spring 모듈이나 기타 라이브러리를 추가하려면 종속성 추가를 클릭하세요.
-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속성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Spring Web: REST API 및 웹 애플리케이션용입니다.
- Spring Data JPA: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및 통합용.
- Spring Security: 보안 기능용입니다.
- Spring Boot DevTools: 개발 및 디버깅용입니다.
- 프로젝트 생성:
- 종속성을 선택하고 프로젝트를 구성한 후 생성을 클릭합니다.
- 생성된 프로젝트 파일이 포함된 .zip 파일이 다운로드됩니다.
- IDE에서 프로젝트 설정:
- 다운로드한 .zip 파일을 추출합니다.
- IDE(예: IntelliJ IDEA, Eclipse 또는 VS Code)를 열고 프로젝트를 가져옵니다.
- IntelliJ IDEA의 경우: 파일 > _열기_를 선택하고 추출된 폴더로 이동합니다.
- Eclipse의 경우: 파일 > 가져오기 > _기존 Maven 프로젝트_를 사용하세요.
- 애플리케이션 실행:
- 프로젝트 설정이 완료되면 이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.
- @SpringBootApplication 어노테이션이 붙은 메인 클래스에서 main() 메소드를 실행합니다. 대부분의 IDE는 "실행" 버튼을 제공합니다.
-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정의:
- 이제 기본 Spring Boot 설정이 완료되었으므로 컨트롤러, 서비스, 저장소를 추가하고 속성을 구성하는 등의 작업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에서 기능 구축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.
Spring Initializr 사용의 장점
- 빠른 프로젝트 설정: 수동 구성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즉시 코딩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.
- 종속성 관리: Initializr는 최신 안정 버전의 종속성을 구성하여 호환성을 보장합니다.
- 사용자 정의 가능: 특정 요구 사항에 맞게 프로젝트 메타데이터 및 종속성을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.
Spring Initializr는 초보자와 숙련된 Spring 개발자 모두를 위한 필수 도구로, 초기 설정을 간소화하고 개발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.
반응형
'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est-Driven Development (TDD) 란 ? (1) | 2024.11.18 |
---|---|
백엔드 개발자를 위한 강의 추천 (feat.Udemy) (2) | 2024.11.15 |
POJO(Plain Old Java Object) 프로그래밍 이란 (0) | 2024.11.13 |
Spring과 Spring Boot (1) | 2024.11.12 |
Deploy(배포) : 원활한 실행을 위한 주요 단계, 도구 및 기술 (0) | 2024.11.11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웹개발
- 풀스택
- 백엔드개발
- ChatGPT
- synchronized 단점
- html
- JavaScript
- mock해야하는대상과아닌것
- 캐시란
- Java
- 캐시스탬피드
- spring
- Springboot jpa
- 항해후기
- google commit convention
- 티스토리챌린지
- tdd개발
- java test 개발
- 개발자
- mock사용법
- spring.io.start
- 더현대 크리스마스 현장대기
- commit convetion
- API
- 프로그래밍
- 오블완
- postgresql brew
- Grammarly
- postgresql 다운로드
- css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